07. 디자인

디자인 저장할 때 조심! 파일 형식 선택 실수 & 올바른 저장법

2nd-drawer 2025. 3. 24. 18:01
왜 파일 형식 선택이 중요할까?
디자인 작업이 끝났다고 해서 무작정 저장하면 안 됩니다!
잘못된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면 화질이 깨지고, 인쇄 문제가 생기거나, 클라이언트가 파일을 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요.
✔ "JPEG로 저장했는데 배경이 사라졌다?"
✔ "인쇄했더니 색상이 다르게 나왔다!"
✔ "클라이언트가 파일이 안 열린다고 한다?"
이런 문제를 피하려면 올바른 파일 형식 선택법을 알아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 디자이너들이 자주 하는 파일 저장 실수 & 해결법을 알려드릴게요! 🚀

 

파일 형식 선택 실수 & 올바른 저장법

 

 

1. 파일 형식 선택의 기본 원칙

디자인 작업 후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파일 형식을 다르게 저장해야 합니다.

  • 웹용 (온라인, SNS, 웹사이트, 앱 등)
    - JPG, PNG, GIF, SVG
    - 용량이 가벼우면서도 선명한 화질 유지
  • 인쇄용 (포스터, 명함, 브로슈어 등)
    - PDF, AI, EPS, TIFF
    - 높은 해상도 & CMYK 색상 유지
  • 편집 가능하게 저장 (수정용, 원본 보관용)
    - PSD, AI, INDD
    - 모든 레이어와 요소를 유지하여 재편집 가능

 [📌 Tip]

🔥 "저장하기 전에 어디에 사용할 건지 먼저 생각하자!"

 

 

2. 초보 디자이너들이 흔히 하는 파일 저장 실수 & 해결법

[⚠️실수 1]

  • JPG로 저장했는데 배경이 사라졌다?

[💥 문제점]

  • JPG는 배경을 투명하게 저장할 수 없음
  • 투명한 로고, 아이콘을 저장했더니 흰 배경이 생겨버림

[ 해결책]

  • 투명 배경이 필요하면 PNG로 저장
  • 웹 디자인, 로고 작업 시 PNG(투명 지원) / SVG(벡터 기반) 추천

 [📌 Tip]

  • PNG는 투명 배경 가능, JPG는 투명 불가능!

[⚠️실수 2]

  • 인쇄용 파일을 RGB로 저장했다?

[💥 문제점]

  • RGB는 웹(모니터)용 색상, CMYK는 인쇄용 색상
  • RGB 상태로 인쇄하면 색이 다르게 출력됨

[ 해결책]

  • 인쇄할 파일은 반드시 CMYK로 변환(File → Document Color Mode → CMYK)
  • 색상 차이를 줄이기 위해 Pantone 컬러 사용 고려

 [📌 Tip]

  • 웹 = RGB / 인쇄 = CMYK 기본 원칙을 지키자!

[⚠️실수 3]

  • 원본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JPG만 남겼다?

[💥 문제점]

  • JPG는 편집이 불가능 → 수정하려면 처음부터 다시 작업해야 함 😱

[ 해결책]

  • 작업 후에는 원본 파일도 함께 저장 (PSD, AI, INDD 등)
  • 클라이언트에게 파일을 전달할 때도 편집 가능한 원본과 함께 전달

 [📌 Tip]

  • JPG, PNG만 저장하지 말고 원본 파일(PSD, AI)도 꼭 보관하자!

[⚠️실수 4]

  • 웹에서 사용할 파일을 너무 큰 용량으로 저장

[💥 문제점]

  • JPG, PNG 해상도를 너무 높게 설정하면 용량이 커져서 웹 로딩이 느려짐
  • 블로그, SNS, 웹사이트에서 이미지 업로드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해결책]

  • 웹용은 가볍게 저장 (File → Export → Save for Web)
  • 추천 설정:
    - JPG (고품질, 용량 작음) → 60~80% 품질로 압축
    - PNG (투명 지원) → 필요할 때만 사용 (무조건 PNG X)
    - SVG (벡터 파일) → 아이콘, 로고 등에 활용

[📌 Tip]

  • 웹용 이미지는 1MB 이하로 압축하는 것이 좋다!

[⚠️실수 5]

  • PDF로 저장했더니 글자가 깨졌다?

[💥 문제점]

  • PDF 저장 시 폰트가 포함되지 않아서 다른 컴퓨터에서 열면 글자가 깨짐
  • 인쇄소에서 "폰트가 다르게 보인다"고 함

[ 해결책]

  • PDF 저장 시 폰트 포함(Embed Fonts) 옵션 활성화
  • 모든 텍스트를 윤곽선으로 변환 (Ctrl + Shift + O)
  • 인쇄용 PDF 설정: Press Quality 또는 High Quality Print

[📌 Tip]

  • 인쇄용 PDF는 폰트를 포함하거나 윤곽선 변환을 필수로 하자!

[⚠️실수 6]

  • 클라이언트가 파일을 못 열겠다고 한다?

[💥 문제점]

  • AI, PSD 파일을 보내줬는데 클라이언트가 열지 못함
  • 일러스트레이터 버전이 낮으면 최신 AI 파일이 열리지 않음

[ 해결책]

  • 파일 저장 시 하위 버전 호환 (File → Save As → Legacy Format)
  • 클라이언트가 특정 프로그램이 없을 수도 있으므로 PDF, JPG, PNG도 함께 전달

[📌 Tip]

  • 파일을 보낼 때는 AI + PDF + PNG로 저장해서 보내면 안전하다!

 

🎯 3. 디자인 저장할 때 올바른 파일 형식 선택법 정리!

  • 웹용: JPG (가볍고 선명) / PNG (투명 지원) / SVG (벡터)
  • 인쇄용: PDF (고품질) / AI, EPS (벡터) / TIFF (고해상도)
  • 원본 보관: PSD (포토샵) / AI (일러스트레이터) / INDD (인디자인)
  • 용량 조절: Save for Web 기능 사용

🔥 이제 디자인을 저장할 때 파일 형식을 제대로 선택하세요!

 

 

 

파일 형식만 잘 선택해도 디자인 실수를 줄일 수 있다!
파일을 잘못 저장하면 시간과 노력이 모두 낭비됩니다.
이제부터는 저장하기 전에 용도에 맞는 파일 형식을 선택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