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디자인
초보 디자이너들이 자주 저지르는 그리드 시스템 활용 오류 & 정리 방법
2nd-drawer
2025. 3. 22. 12:34
왜 그리드 시스템을 잘 활용해야 할까?
디자인을 하다 보면 "뭔가 정리가 안 된 느낌이다", "텍스트와 이미지가 어색하게 배치됐다"는 경험을 해본 적이 있을 거예요.
이런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은 바로 그리드 시스템(Grid System) 활용 오류 때문입니다.
그리드 시스템은 디자인의 기본 틀을 잡아주고, 정돈된 레이아웃을 만드는 핵심 요소입니다.
하지만 초보 디자이너들은 그리드를 아예 사용하지 않거나, 잘못 사용하는 실수를 많이 합니다.
오늘은 초보 디자이너들이 자주 하는 그리드 시스템 활용 오류와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그리드 시스템이란? (Grid System 이해하기)
그리드 시스템은 디자인 요소들을 정렬하고 배치하는 틀로, 웹디자인, 인쇄 디자인, 앱 디자인 등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 그리드 시스템을 사용하면?
디자인이 정돈된 느낌을 줌
콘텐츠의 가독성이 향상됨
시각적 흐름이 자연스러워지고, 사용자 경험(UX)이 개선됨
✅ 그리드의 주요 요소
열(Column): 콘텐츠를 배치하는 기본 단위
거터(Gutter): 열 사이의 간격
마진(Margin): 전체적인 여백
행(Row): 요소들이 정렬되는 가이드라인
📌 Tip: 그리드를 활용하면 초보자도 깔끔하고 전문적인 디자인을 쉽게 만들 수 있어요!
2. 초보 디자이너들이 자주 저지르는 그리드 시스템 활용 오류 & 해결법
[⚠️실수 1]
- 그리드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음
[💥 문제점]
- 디자인 요소가 제각각 배치돼서 일관성이 없음
- 요소 간 간격이 들쭉날쭉하여 정리되지 않은 느낌을 줌
[✅ 해결책]
- 디자인 시작 전에 그리드 설정부터 하기!
- 웹디자인이라면 12열(12-column) 그리드를 기본으로 활용
- 포토샵, Figma, Illustrator 등에서 그리드 기능 활성화
[📌 추천 설정]
- 웹디자인: 12-column 그리드 (거터 20~30px, 마진 60px)
- 포스터/인쇄물: 3~5개 컬럼으로 간단한 레이아웃 설정
[⚠️실수 2]
- 너무 많은 열(Column) 사용
[💥 문제점]
- 열이 너무 많아지면 디자인이 복잡하고 가독성이 떨어짐
- 사용자가 시각적 중심을 잡기 어려워짐
[✅ 해결책]
- 단순한 레이아웃을 유지 → 일반적으로 12, 8, 6열 그리드 사용
- 텍스트 중심 디자인 → 6열 이하 그리드 사용 (가독성 향상)
- 데이터 중심 UI → 12열 그리드 활용 (정보 배치가 편리함)
[📌 Tip]
- 초보 디자이너는 12열 그리드부터 연습하고, 필요에 따라 간결하게 줄이는 것이 좋다!
[⚠️실수 3]
- 여백(마진 & 거터) 없이 요소 배치
[💥 문제점]
- 텍스트와 이미지가 너무 붙어 있어 답답해 보임
- 정보가 한꺼번에 보여 가독성이 떨어짐
[✅ 해결책]
- 반드시 거터(Gutter)와 마진(Margin)을 설정해 요소 간 여백을 확보
- 웹디자인 기준 - 마진: 좌우 60~100px / 거터: 20~30px
- 디자인이 답답하면 여백을 10~20% 늘려 보기!
[📌 Tip]
- 여백이 많으면 디자인이 고급스럽고 깔끔한 느낌을 줌!
[⚠️실수 4]
- 정렬을 맞추지 않음
[💥 문제점]
- 텍스트, 이미지, 버튼 등이 제각각 위치해서 정돈되지 않은 느낌
- UI/UX 디자인에서 정렬이 맞지 않으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낌
[✅ 해결책]
- 텍스트 & 이미지 정렬을 그리드 라인에 맞춰 배치
- 가이드라인을 활용해 일관된 패딩 & 마진 유지
[📌 추천 설정]
- ✔ 좌측 정렬 – 가독성이 필요한 텍스트 콘텐츠에 적합
✔ 중앙 정렬 – 카드형 UI, 포스터, 브랜드 로고 등에 적합 - 🔥 디자인을 정리된 느낌으로 만들고 싶다면?
→ 항상 그리드 라인을 기준으로 정렬!
[⚠️실수 5]
- 모바일 디자인에서 그리드를 고려하지 않음
[💥 문제점]
- 웹에서는 괜찮았던 디자인이 모바일에서 깨져 보임
- 작은 화면에서도 가독성이 유지되지 않음
[✅ 해결책]
- 반응형(Responsive) 그리드 사용 → 12열을 6열, 4열로 조정
- 모바일에서는 거터를 더 크게(30~40px) 설정해 가독성 유지
- 버튼 크기를 키워서 터치하기 쉽게 조정
[📌 Tip]
- 반응형 웹디자인에서는 12-column → 모바일에서는 4~6-column으로 변환!
3. 그리드 시스템을 잘 활용하면 디자인이 달라진다!
- 그리드를 활용하면 정리된 레이아웃 + 가독성 향상
- 여백을 충분히 확보해 고급스러운 디자인 연출
- 반응형 디자인을 고려해 모바일에서도 깔끔한 레이아웃 유지
- 핵심은?
👉 그리드 사용을 습관화하고, 정렬 & 여백을 철저하게 맞추는 것!